커뮤니티

입시의 모든 것 YouTube 언론보도 카드뉴스 대치리본
제목 작성일
[입시용어정리] 미리 알아두면 좋은 입시 용어 - 대입편 2025.02.06


안녕하세요 모든에듀케이션입니다!


벌써 2025년 새해가 밝은지도 두 달이 되어가고 있는데요.

예비 고3, 재수, N수 수험생들과 학부모분들은 올해 다가올 대학 입시 준비에 집중하고 계실텐데요.




낯선 입시 용어 때문에 대학 입시가 더 어렵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어

오늘은 대입 용어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미리미리 알아두면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실겁니다!




<수능 관련 입시 용어>


① 원점수 : 시험 후 각 문항의 배점을 더한 점수

 말 그대로 총 문제 중 맞힌 문제의 배점을 더한 점수를 말합니다.

흔히 아이들이 시험을 본 후, '엄마 100점 받았어요!' 라고 말할 때의 100점이 바로 원점수입니다.


②표준점수 : 원점수를 기반으로 상대적 서열을 나타내는 점수로

실제 자신의 원점수가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점수입니다.

시험의 난이도가 높다면 같은 원점수라도 표준점수가 높게 나타납니다


③백분위 : 응시자 전체를 100으로 봤을 때. 나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

예를 들어 백분위 97은 나보다 낮은 점수를 가진 친구들이 100명중 97명이라는 뜻입니다.

즉, 숫자 100에 가까울수록 나의 성적과 등급이 높다는 의미겠죠!




<대입 전형 및 모집 시기 관련 용어>


①일반전형 : 국가가 권장하는 일반 교육 과정을 수행한 학생과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전형


②특별 전형 : 특별한 전형요소 또는 자격 기준으로 선발.

각 대학의 독자적 기준 (특기자,고른기회 등)으로 구별됩니다.


③모집단위 : 대학에서 학생을 모집하는 단위로 

주로 학과 단위로 모집합니다.


수시모집 : 정시모집에 앞선 선발 방식으로

학생부 종합전형, 학생부 교과전형, 논술전형, 특기자 전형 등이 있습니다.





정시모집 : 주로 수능 성적을 기준으로 선발하며

가,나,다군이 있습니다. 각 군 별로 한 대학에만 지원 가능하여

총 3번의 기회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량평가 : 객관적으로 수량화가 가능한 자료로 평가하는 방법

예) 학생부 교과전형


⑦정성평가 : 전형자료를 토대로 평가자가 의미를 찾고 해석하는 평가 방법

예) 학생부, 면접 등


⑧지원횟수 : 입학원서 접수 지원횟수는 수시 최대 6회

정시 모집군별 각 1회씩 총 3회입니다.




<입시 관련 줄임말>


①입결 : '입학 시험 결과'의 줄임말로

학교마다 합격한 학생들의 평균 입학 성적을 뜻합니다.


②세특 : '세부능력과 특기사항'의 줄임말로

고등학교 생활기록부에 기록되는 각 과목별 학생의 세부사항과 특기활동을 적는 란입니다.


③창체 : '창의적 체험 활동'의 줄임말로

비교과 활동인 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 등을 뜻합니다.




④학종 : 학생부 종합 전형의 줄임말로

내신성적과 생기부 활동이 포함됩니다.


⑤교과 : 학생부 교과 전형의 줄임말로

내신교과성적만 반영하는 수시전형입니다.


⑥지균 : 지역균형 선발 전형의 줄임말로

수도권에 있는 대학 중심으로 시행됩니다.


⑦기균 : 기회균형 선발 전형의 줄임말로

사회적 배려 대상자 중에서 선발하는 전형입니다.



지금까지 대학 입시 용어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헷갈릴 수 있는 용어들이니 대학 입시 진행 시 꼭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까지 모든에듀케이션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