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입시의 모든 것 YouTube 언론보도 카드뉴스 대치리본
제목 작성일
[입시용어 알아보기] 학생부 기재 제한사항 & 진로선택과목 성취도 2025.04.17


안녕하세요!

모든에듀케이션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학생부 기재  제한사항 & 진로선택과목 성취도



학생부 종합전형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고1·고2 학생과 학부모님이 가장 많이 묻는 질문 중


“이 활동, 생활기록부에 적을 수 있나요?”

“진로선택과목은 성적보다 세특이 중요하다는데, 진짜예요?”


바로 이런 궁금증과 관련된 용어들이

바로 학생부 기재 제한사항과 진로선택과목 성취도입니다.



이 두 용어는 

의미와 전략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학생부 기재 제한사항이란?


 교육부의 ‘기록 불가 항목’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학생부에 기재해서는 안 되는 항목들을 말합니다.


기재 제한 사항

1. 구체적인 대학명, 기관명, 상호명, 강사명 등

2. 논문을 학회지 등에 투고 또는 등재하거나 학회 등에서 발표한 사실

3. 특수문자, 문단구분 기호(번호)



예시 항목

- 교외 수상 경력 (외부 기관 주최 대회)

- 자격증 및 인증시험 성적 (토익, 한국사 자격증 등)

- 교외 체험활동 (학원, 사설 캠프)

- EBS 수강 기록, 교외 독서 활동


즉, 사교육 유발 요소 차단 목적입니다.



기재 제한사항을 적는 경우

대학 평가 과정에서 감점 혹은 실격 처리될 수 있어요!






진로선택과목 성취도란?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 진로선택과목

등급이 아닌 성취도로 평가됩니다.


학생의 적성과 진로에 따라

선택하는 과목에서 주로 적용됩니다.



성취도 평가 방식

- 등급 대신 A / B / C 3단계로 표시

- 성적 간 점수차 없습니다.

- 수행평가, 태도, 참여도, 과제 등 수업 전반을 정성평가 합니다.

- 대입 정량 반영 비중이 매우 낮거나 없습니다.



예시 과목

기하 / 생명과학생명과학Ⅱ / 심화국어

사회문제탐구 / 심화수학 / 경제수학 / 한국지리Ⅱ 등

-> 주로 고2~3 때 진로에 맞춰 선택합니다.



주요 특징

1. 성적(A/B/C)보다 세특 내용이 입시에 더 중요합니다.


2. 학생의 진로 방향성, 수업 태도, 탐구 과정 등을

세특에 구체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3. 일부 대학에서는 진로선택과목 이수 여부 자체를

서류 평가 요소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연세대, 서울대 등 → '심화과목 이수 여부' 확인 필요



주의할 점

진로선택과목을 단순히 성적 낮을까 봐 피하면 안 됩니다!

→ 진로와 관련 있다면 A/B 성취도와 무관하게

도전한 흔적 자체가 평가 요소


세특을 통해 수업 참여도, 탐구 과정, 표현력 등이

드러나야 긍정적인 평가로 봅니다.








입시 전략 TIP

 기재 제한사항은 아무리 좋은 활동이라도

학생부에 쓸 수 없다면 입시 자료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교내 활동 중심으로 설계하세요.


 진로선택과목은 성적보다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세특)의 내용이 훨씬 중요해요.


 진로와 연관된 과목을 택하고,

적극적인 수업 참여와 탐구 활동을 남기세요.




이상 모든에듀케이션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