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입시의 모든 것 YouTube 언론보도 카드뉴스 대치리본
제목 작성일
[입시용어 알아보기] 복수지원 vs 중복지원 2025.04.02



안녕하세요, 모든에듀케이션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복수지원 vs 중복지원' 입니다.



매년 입시 시즌에 때마다 나오는 질문들!


"같은 대학에 두 개 학과 지원해도 되나요?"

"서로 다른 대학에 같은 전형으로 여러 개 써도 괜찮나요?"



바로 여기서 등장하는 개념이 복수지원과 중복지원입니다.



이 두 개념은 비슷해 보이지만,

입시 전략에서는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정확하게 구분해야 합니다.



그럼 하나씩 알아가 볼까요?






🎯복수지원


수시모집은 각 대학에 최대 6개 전형 이내로

지원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복수 지원이라고 합니다.


즉, 같은 대학에서 전형이나 모집단위가 다르면

여러 개 지원 가능한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A대학교에 '학생부 교과전형'으로 국어ㆍ국문학과를 지원하고,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학과를 지원하는 경우 입니다.


이 경우 학생부 교과전형 /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서로 다른 전형으로 지원하였기에 가능합니다.


(예시 사진 대학 입시 예{시?)



🔎 주의할 점


1. 각 대학의 전형별 지원 가능 횟수는

반드시 모집요강 확인 필수 입니다!


2. 일부 대학은 '한 전형당 1개 모집단위만 지원 가능'하게

제한하기도 합니다.






🎯중복지원


중복지원은 여러 대학교에 동일한 전형으로

동시에 지원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같은 시기에 다른 대학, 같은 전형에 복수로

지원하는 걸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A대학은 국어ㆍ국문학과 지원, B대학은 철학과 지원, C대학 행정학과 지원


이런 식으로 같은 전형으로 중복 지원 가능합니다.



🔎 주의할 점


대입에서는 수시/정시 간 중복 지원 불가 원칙이 아닙니다.


📌 수시는 6개까지 지원 가능합니다.

(사관학교, KAIST, UNIST, 한국예술종합학교 등

특별 학교, 전문 대학, 산업 대학, 이공계 특성화 대학은 예외)


단, 특기자전형·논술·실기위주 등 일부 전형은 횟수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복수지원 vs 중복지원 한 눈에 비교하면 이렇습니다.






🔎 입시 전략 팁!


 복수지원은 하나의 대학을 꼭 가고 싶은 경우 활용하면 좋습니다.

지원 방식만 다르게 하면 두 개 전형에 동시 지원 가능하기 때문이죠!


중복지원은 수시 6회 안에서 전형별 강점을 살려 다양한 대학을 시도할 때 좋아요.


지원 전 반드시 ‘모집요강’ 확인 필수입니다!

같은 대학이라도 전형별 지원 가능 횟수가 다를 수 있어요.




이상 입시용어 알아보기

복수지원 vs 중복지원 편을 마칩니다.


모든에듀케이션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