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입시의 모든 것 YouTube 언론보도 카드뉴스 대치리본
제목 작성일
[입시용어 알아보기] 교차지원 vs 적합지원 2025.04.01



안녕하세요. 모든에듀케이션입니다.



오늘은 입시용어 얼아보기

교차지원 vs 적합지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

 교차지원이 불리한가요?

적합지원이 무조건 유리할까요?

라는 고민이 있으시죠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교차지원이란?


자연계 학생이 문과 학과(경영, 심리 등)에 지원하거나,

문과 학생이 자연계 학과(통계, 산업공학 등)에 지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1. 수학 ‘미적분’을 공부한 학생이 심리학과에 지원

2. 문과 학생이 수학 ‘확률과 통계’로 통계학과 지원



🔍적합지원이란?


내가 공부해온 계열과 전공 방향이

일치하는 학과로 지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학생부 활동, 세특, 진로계획, 교과이수 등

모두 전공적합성을 뒷받침이 가능합니다.








🔍 그러면 교차지원과 적합지원 중

누가 더 유리할까요?


📌 전공적합성

교차지원보다 적합지원이 더 유리합니다.


📌 면접질문

교차지원은 '지원 동기 집중 질문'을 하며,

적합지원은 '전공 관련 질문' 위주로 진행됩니다.


📌 경쟁률

교차지원은 낮을 수도 있는 경향이 보이며,

적합지원은 높은 경쟁률을 보입니다.



핵심은 전공적합성이 아니라

"전공 선택 이유와 준비 과정'

면접에서 얼마나 설득력 있게 말하느냐에 달라집니다.






🔍 그러면 교차지원 불리한가?


결과를 먼저 말씀드리자면

 불리한 것이 절때 아닙니다.



🛠 학생부에 전공 관련 탐색 활동이 있는지


🛠 선택 과목이 전공과 너무 동떨어지지 않는지


🛠면접에서 '왜 이 전공인가요?'라는

질문에 논리적으로 답할 수 있는지.


교차지원을 할 때 체크하여 보완할 수 있습니다.






🔍결론


교차지원도 불리하지 않다!

단, 전공에 대한 관심·노력·활동이 자소서/면접에서 설득력 있게 보여야 해요.


적합지원은 자연스러운 흐름이지만,

경쟁률이 높은 전형에선 역량 차이가 더 부각되기도 합니다.


또한 교차지원을 하더라도,

그 학과에서 요구하는 교과목을 수강 했는지, 학생부에 해당 분야 탐색 활동이 있는지


진로동기와 학과 연관성이 구체적인지 꼭 확인하세요!




이상 모든에듀케이션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