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입시의 모든 것 YouTube 언론보도 카드뉴스 대치리본
제목 작성일
평가자가 반하는 전공적합성 전략 (feat. 문과 계열) 2025.03.25



안녕하세요. 모든에듀케이션입니다!



학생부 종합전형은 '활동을 얼마나 많이 했는가'보다

진로와 관련된 활동을 어떻게 이어가고 정리했는가'' 가 중요합니다.



문과 계열은 이과 계열과 달리 수학ㆍ과학처럼 명확한 답과 지식을 다루기보다는

실제 현상에 기반한 이론을 통해 사회 현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사고력이 요구됩니다.


깊은 이해와 통찰을 통해 현상의 이면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본질을 발견해 낼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문과 계열을 전공 분야별로 나누어,

어떤 활동을 하고, 어떻게 전공 적합성을 보여줄 수 있는지 정리했습니다!







첫 번째는 인문학 계열입니다.

인문학 계열은  인문학을 통해 스스로 사고하는 법을 배우고,
호기심을 가지며 원인과 이유를 생각해보고
비판적인 사고를 갖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예를 들어,

1. 문학 감상문 쓰기
ex) '1984'를 읽고 언어 통제를 주제로 글 작성

2. 문학 비교 분석
고전과 현대문학을 두고 서사 비교하기

3. 창작하기
에세이 / 시 / 단편소설 중 주제를 정하여 창작하기

4. 토론 참여
백일장ㆍ독서토론 중 주제를 정하여 교내 토론 참가하기

평가 포인트는
문해력 / 비판적 사고 / 자기표현력 입니다.






두 번째는 사회과학 계열입니다.

사회과학 계열은 사회구조와 제도,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로 성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1. 뉴스 기사 스크랩 & 정책 제안
ex) 청년 고용 관련 기사 정리 후 해결 방안 제시

2. 모의UN, 모의의회 참여
ex) UN 안보리 역할 맡아 국제 분쟁 조율

3. 발표·에세이 작성
ex) 지역 갈등, 사회 문제에 대한 발표 자료 제작

4. 국내외 제도 비교 활동
ex) 한국과 독일의 선거제도 비교 후 정리

평가 포인트는
시사이해 / 공공성 / 분석력입니다.






세 번째는 심리·교육 계열입니다.

심리·교육 계열은 사람의 감정, 성장, 행동을 깊이 있게
들여다보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또래 상담·멘토링 활동
ex) 1학년 멘토 활동으로 학습 상담과 정서 지원

독서 및 정리
ex) 심리 관련 도서 독서 후 성격유형 정리

설문조사 및 분석 보고서 작성
ex) ‘교내 스트레스 요인’ 주제 설문 실시 및 분석

교육제도 관련 토론·보고서 작성
ex)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한 찬반 분석 정리

평가 포인트는
 공감능력, 관찰력, 인간 이해입니다.






네 번째는 경제·경영 계열입니다.

경제·경영 계열은 경제 구조를 이해하고
실생활 속 경제 흐름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1. 가상 주식 투자 체험
ex) 모의투자 앱 활용해 종목별 수익률 비교

2. 소비 트렌드 조사 및 보고서 작성
ex) 10대 패션 소비 트렌드 변화 분석

3. 경제 기사 요약 + 의견 쓰기
ex) 최저임금 인상 관련 기사 정리 및 나의 의견 작성

4. 마케팅 기획안 작성
ex) 교내 축제 굿즈를 위한 가격·홍보 전략 구성

평가 포인트는
분석력 / 기획력 / 수리논리력입니다.






다섯 번째는 미디어·커뮤니케이션 계열입니다.

미디어 계열은 사회와 소통하는 방식에 대한
민감한 감각과 전달 능력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광고·캠페인 분석 보고서 작성
ex) 환경보호 광고 캠페인 메시지 비교 분석

뉴스 프레임 비교하기
ex) 같은 사건을 다룬 기사 2개 비교해 시각차이 분석

영상·SNS 콘텐츠 기획서 작성
ex) 청소년 대상 진로 콘텐츠 기획서 구성

교내 신문 제작·방송 활동 참여
ex) 교내 라디오에서 뉴스 콘텐츠 기획·제작

평가 포인트는
콘텐츠 분석력 / 기획력 / 표현력입니다.






여섯 번째는 문화·예술·인류학 계열입니다.

문화·예술·인류학 계열은  다양한 삶의 방식과 상징을 해석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보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다큐 감상 후 감상문 작성
ex) 『세계를 보다』 시리즈 감상 후 문화 차이 정리

문화 관련 영화·작품 분석
ex) 『기생충』을 통해 한국 계층문화 해석

다문화 인식 관련 프로젝트
ex) 지역 다문화 가정 인터뷰 기획 및 진행

종교·의례·관습 탐구 보고서 작성
ex) 국가별 결혼식 문화를 비교한 리포트 작성

평가포인트는
문화 감수성 / 탐구심 / 다각적 시각입니다.






전공에 맞는 활동을 단순히 나열하기보다,
‘왜 이 활동을 했는지’, ‘무엇을 느꼈는지’를 연결해 학생부에 녹여보세요.

전공적합성은 스펙이 아니라, ‘생각의 흐름’으로 평가됩니다.


이상 문과 계열  전공적합성 전략을 알려드린
모든에듀케이션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