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입시의 모든 것 YouTube 언론보도 카드뉴스 대치리본
제목 작성일
[전기공학과] 세특 주제 추천 그리고 전공관련 도서 안내 2024.05.08

안녕하세요~^^ 입시의 모든 것 모든에듀입니다.

아직까지 진로고민중이거나 막상 진로를 정했더라도 해당 학과에 대해서 알고 있는 나의 정보가

올바른 100% 정보인지 많이 걱정되고 궁금하실 텐테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계열별 학과정보 분석!!

오늘은 많은 학과정보 중에서도 먼저 전기공학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학과개요

매년 여름, ‘전력 수급 비상, 다음 주 최대 고비’, ‘아슬아슬 예비 전력, 공기업들 에너지 절약 허리띠 질끈’과 같은 제목의 신문 기사를 자주 보지 않았나요? 전력의 공급량보다 수요량이 훨씬 높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화석연료, 수력, 원자력, 풍력, 태양열 등의 에너지원에 대해서 공부합니다. 전기공학과는 변환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고 운송하는 데 필요한 재료, 부품, 시스템에 관해서 배우는 곳입니다. 전기 에너지에 관한 연구 이외에도 인간 생활을 쾌적하게 만들어 주는 첨단 생활기기, 제반 사회 시스템의 자동화 및 정보화, 정보 문화생활의 도구인 컴퓨터 등 다양한 영역에 대해서 공부합니다.



□ 관련학과

전기공학, 전기공학부, 전기공학전공, 에너지전기공학부, 에너지전기공학과, 전기공학과, 디스플레이․ 반도체물리학과, 철도전기전자공학과, 항공전기전공, 전기공학부․ 컴퓨터공학부군, 철도전기융합학과, 전자정보공학부(전기공학전공), 전기․ 정보공학부, 전기․ 생체공학부, 응용시스템공학부(산업전기공학전공), 전기 ․ 전자 ․ 컴퓨터공학부 전기공학과, 전기컴퓨터공학부, 전기정보공학과, 발전공학과, 물리융합전기공학과 등



□ 주요교과목

물리학 및 실험, 공업수학, 프로그래밍 언어, 화학 및 실험, 디지털 시스템, 전자기학, 회로이론, 기초전기공학실험, 현대물리학, 전기기기, 전력공학, 전력전자공학, 제어공학, 통신공학, 전기공학실험, 반도체공학, 센서시스템공학, 에너지변환공학, 전기응용, 플라즈마공학, 응용전기공학실험 등




□ 개설대학

가천대, 강릉원주대, 강원대, 건국대, 경남대, 경북대, 경상대, 경성대, 경일대, 고려대(세종), 공주대, 광운대, 광주대, 군산대, 대진대, 동국대, 동명대, 동신대, 동아대, 동양대, 동의대, 명지대, 목포대, 배재대, 부경대, 부산대, 서울과기대, 서울대, 세명대, 수원대, 순천향대, 숭실대, 영남대, 우석대, 원광대, 위덕대, 인천대, 인하대, 전남대, 전북대, 제주대, 조선대, 창원대, 충남대, 충북대, 한경대, 한국교통대, 한국산업기술대, 한밭대, 한서대, 한양대, 호남대, 호서대, 호원대 등



□ 졸업 후 진출분야

전기관련 정부기관, 전력공사, 전기관련 연구소, 관공서 전기전문가, 기업체 전기전문가, 방송국, 발전설비기술자, 송배전설비기술자, 전기감리기술자, 전기계측제어기술자, 전기 및 전자설비조

작원, 전기안전기술자, 전기제품개발기술자, 풍력발전연구 및 개발자, LED 연구 및 개발자 등



□ 학과와 친한 교과

국어(국어), 영어(영어, 영어회화), 사회(통합사회), 수학(수학), 과학(통합과학, 과학실험)



□ 학과별 권장 선택과목(서울 교육연구정보원)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물리학Ⅰ, 물리학Ⅱ, 화학Ⅰ, 화학Ⅱ, 정보, 환경, 지구과학Ⅰ 등



□ 세특 주제찾기 추천

- 문제를 해결하고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 기술인

- 팀의 구성원으로서 팀 성과에 기여하고자 하는 팀워크 능력

- 기초 과학(수학, 과학 등) 분야의 이해

- 전기공학도로서 갖추어야 할 시스템 분석능력과 창의 설계능력 배양

- 공학인으로서 요구되는 윤리적 책임의식과 협동심 배양

- 과학적, 공학적 문제해결 능력

- 자신에 대한 지극한 사랑과 열정


□ 전공관련 추천 도서

- 김석환 [열정과 야망의 전기이야기]

- 녹색애국주의 실행그룹 [지구온난화를 막는 50가지 방법]

- 최재천 [상상오디세이]

- 히로나카 헤이스케 [학문의 즐거움]

- 브앙딘 앙투안 외 [에너지 세계일주]

- 박동규 [에네르기 팡]

- 이기진 [맛있는 물리]

- 김상욱, 한승 [영화는 좋은데 과학은 싫다고]


지금까지 전기공학과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알기만 한다고 다 내 것이 되는 건 아니죠?

나에게 필요한 전략적인 선택과 집중으로 대학 합격에 한걸음 더 나아가길 기원합니다.